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ubeflow
- tekton
- Kubernetes
- serving
- argocd
- CANARY
- CI/CD
- MLflow
- keda
- Litmus
- operator
- gitops
- blue/green
- opensearch
- 카오스 엔지니어링
- knative
- mlops
- opentelemetry
- Kubernetes 인증
- kubernetes operator
- Pulumi
- xdp
- 오퍼레이터
- Continuous Deployment
- eBPF
- Kopf
- Argo
- seldon core
- nginx ingress
- Model Serving
- Today
- Total
목록CI/CD (4)
Kubernetes 이야기

Argo Workflow Argo Workflows는 Kubernetes에서 병렬 작업을 오케스트레이션하기 위한 오픈 소스 컨테이너 네이티브 워크플로 엔진입니다. Argo Workflows는 Kubernetes CRD(Custom Resource Definition)로 구현됩니다. 워크플로의 각 단계가 컨테이너인 워크플로를 정의합니다. 다단계 워크플로를 작업 시퀀스로 모델링하거나 DAG(방향성 비순환 그래프)를 사용하여 작업 간의 종속성을 캡처합니다. Kubernetes에서 Argo Workflows를 사용하여 짧은 시간 안에 기계 학습 또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컴퓨팅 집약적인 작업을 쉽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소프트웨어 개발 제품을 구성하지 않고도 Kubernetes에서 기본적으로 CI/CD 파..

Argo rollout - Blue / Green 배포 우선 아래와 같이 앱을 배포해보자.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rollouts-bluegreen spec: replicas: 3 selector: matchLabels: app: rollouts-bluegreen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rollouts-bluegreen spec: containers: - name: hello image: ghcr.io/kmaster8/hello:v1 ports: - containerPort: 5050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hello-v1 spec: type..

Flagger Flagger는 Kubernetes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릴리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CD 도구이다. Flagger는 현재 CNCF Incubating 프로젝트로서 사용자 요청 결과 (성공/실패) 메트릭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설정한 임계치 미만으로 안정된 트래픽이 유지되면 새 버전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여 프로덕션에 적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Flagger는 GitOps 도구중 하니인 Flux 제품의 일부분인 프로젝트이다. Flagger 는 배포를 진행할때 Blue/Green 또는 Canary 배포를 진행함에 있어 라우팅을 담당하는 여러 공급자와 연계하여 진행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아래의 공급자와 연계 가능하다. Service mesh Istio Linkerd AWS App Mesh O..

개발자가 만든 소스를 개발/운영 서버에 배포하는 과정을 보통 CI/CD 라고 부른다. Kubernetes에서는 보통 CI과정에 소스 빌드, TestCase 수행, Code Inspect 등을 거친 후 Container Image 생성 및 Container Registry 에 저장 (Push) 하는 과정까지 이루어진다. 그럼 CD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CD 과정에 앞서 잠시 CD라는 용어를 인터넷에서 검사하는 Continuous Delivery, Continuous Deployment 라는 용어가 같이 보인다. 이 둘은 뭐가 차이일까? Continuous Delivery (지속적인 전달) : 개발된 최종 변경 사항을 운영기까지 푸시(전달)하기 위한 수동적인 과정을 보통 Continuous Delivery..